2. 화재 안전을 위한 IoT 기반 시스템
앞서 소개한 기술을 상호 보완해 사용하면 건물과 도시를 더욱 스마트하고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IoT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은 <그림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화재 패널 시스템, 연기, 가스유출, 온도에 대한 센서 등 화재를 실제 감지하는 하드웨어로 구성한다. 또한 RS485나 CAT6 케이블링과 같은 유선기기와 무선 RF 신호의 형태를 통해 통신하는 하드웨어 구성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노드, 허브, 게이트웨이 등으로 불리는 하드웨어다.
<그림 1> IoT 시스템 구성
일반적으로 이는 유무선 기기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한다. IP 프로토콜을 사용해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하고 화재 패널이나 연결된 감지기를 통해 감지한 상황을 통신한다. 시스템 상태는 지속해서 점검해 클라우드 서버에 보고한다. 이 상태가 정상적이어야 화재 예방에 유용하기 때문에 상태 모니터링 활동은 화재 상황 자체를 지켜보는 일과 같이 중요하다. 따라서 사건 상황 자체와 더불어 ▲센서 또는 패널의 배터리 잔량 ▲센서와 게이트웨이/노드 간의 RF 연동성·연결성 ▲게이트웨이/노드에서 인터넷 이용가능성과 같은 다양한 측면 고려 등을 특히 눈여겨봐야 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각종 상황과 기기 상태 정보, 센서와 패널이 있는 건물 정보 등을 보관한다. 주로 평면도, 피난계획, 건물자산, 소방기기, 소방감사, 재실자, 감시 카메라 정보 등에 대한 내용이다. 이는 특정 감지기 정보와 연결해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자와 재실자가 상황을 인지하고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줄이는 데 영향력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또, 클라우드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영향권 내의 사람들에게 통신을 전하는 기능을 한다. 주로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SMS, PA 시스템 등으로 통신한다. 의사소통 도구는 비상상황이나 사건이 전개되는 방식에 기반해 애플리케이션 담당자가 개입할 수 있다.
초기대응자와 재실자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기반 브라우저, 하드키오스크 등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근하여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기기가 없을 경우를 대비해서 SMS 메시지나 PA시스템을 통해 최대한 모든 사람이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범위는 폭넓게 설정한다.
<그림 2> 시스템 내의 화재 감시·제어 요소
이러한 구성은 화재감지·패널 기능 외에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림 2>에선 시스템 내에서 함께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요소를 보여준다. 감지 기능 외에 카메라, 모션 감지기 등의 장치로 특정 구역 화재나 사람들의 이동을 확인하고 여러 장면의 통합 뷰를 통해 화재 대응·구조에 이용하는 확인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펌프, 모터, 승강기, 환기시스템 등과 같은 건물 소방설비의 상태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통제하는 기능도 부여한다.
<그림 3> 중앙화한 화재 감지 플랫폼
따라서 개인, 건물 관리자, 소방기관 등과 같은 다양한 대상을 중심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지리적 제약을 넘어 사용할 수 있다. 또, 감지 정보의 모니터링을 위해 정보를 지리적으로 통합하거나 분리한다. <그림 3>에서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지역의 폭넓은 범위를 관찰하는 중앙 모니터링 플랫폼의 사례를 볼 수 있다.
<그림 4> 플랫폼을 통한 비상 상황 대응 메시지 전달
이 플랫폼은 긴급 상황 발생 시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쓸 수 있다. <그림 4>에선 비상상황 발생과 감지기에 의한 시스템 통신으로 대응해야 할 사람들에게 액션메뉴(대응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액션 메뉴에는 평면·배치도에서 화재 발생지점에 대한 정보, 지상 조건, 화재 확인을 위한 카메라 촬영정보, 이메일, SMS, PA 시스템을 통한 위험구역 통보, 화재 피난계획, 기타 정보 등을 담을 수 있다.
이는 소방관이나 기타 대응자가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보의 예시다. 또한 이 시스템으로 소방검사 정보와 함께 자산 보호와 재실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화재 관련 사고 해결 및 화재 기준 준수를 보장하여 궁극적으로 화재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터다. <그림 5>는 플랫폼을 통한 다양한 데이터 정보의 저장·관리를 한 눈에 보여준다.
<그림 5> 재산, 자산, 화재감시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